티스토리 뷰
지하철 유실물 및 잃어버린 물건 빠르게 찾는 법에 대한 내용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내용을 읽어주신 분들은 지하철 유실물 및 잃어버린 물건 빠르게 찾는 법을 알게 되실 겁니다. 지하철 유실물 및 잃어버린 물건 빠르게 찾는 법의 지식이 필요하시면 모두 읽어주세요. 이제 지하철 유실물 및 잃어버린 물건 빠르게 찾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지하철 유실물 잃어버린 물건 빠르게 찾는 법
지난해 서울교통공사에 접수된 유실물은 총 12만7387건입니다.
2021년 재산분실 건수 10만1618건에 비해 약 25% 증가했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방역수칙이 완화되면서 지하철 이용객들이 회복세를 보이며 유실물 건수도 늘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지하철에서 가장 많이 유실된 품목은 지갑으로 총 3만1228건으로 전체 유실물의 24.5%를 차지했습니다. 휴대폰(16.5%) > 의류(14.4%) > 가방(14.2%) 순이었습니다.
가장 자주 유실되는 지하철 물품도 바뀌고 있습니다. 10년 전 1위였던 가방은 최근 4위로 밀려났습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휴대폰이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18년 이후로 지갑 분실이 가장 흔했습니다. 현장에서 수령하는 지갑이 대부분 얇은 카드지갑인 점을 감안하면 지갑에 들어있던 교통카드는 개찰구에서 사용하다가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2022년 접수된 분실물 중 본인에게 직접 인계된 분실물은 80,191건(63%)이었습니다. 29,618건(23%)이 경찰에 이관되었고, 17,578건(14%)이 보관되어 주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계율 가장 높은 항목은 휴대전화로 94.1%에 달했습니다. 가방(78.9%)과 지갑(78.2%)도 높은 회전율을 기록했지만 옷은 1만8333개 중 1833개만 건네졌고 10개 중 9개는 받지 않았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읽어버린 장소와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유실물을 고객안전실에 신고하기 전에 열차에서 하차하는 시간과 방향, 승하차 장소를 정확하게 확인을 하면 유실물을 찾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으로 물건을 선로에 떨어뜨리면 당일 찾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열차 운행시간에 선로에 떨어진 유실물은 안전상의 이유로 회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선로에 물품이 떨어진 경우 물품의 종류와 승강장 위치를 고객안전실에 신고하면 영업 종료 후 수거하여 익일부터 인수할 수 있습니다.
각 역에서 분실물 접수 시 경찰청 유실물 포털사이트 'lost112'(www.lost112.go.kr)에 1차 등록 후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유실물센터로 인계 각 라인. 승객이 바로 수거하지 않으면 1주일 보관 후 경찰서로 이송됩니다.
'lost112'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앱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날짜, 종류, 분실물 위치 등을 검색하여 분실물을 찾았다면 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관소나 유실물센터로 가면 됩니다.
한편 유실물센터에서는 지하철 내 사물함에 분실물을 보관하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분실물 센터가 있는 역의 락커에 분실물을 보관하고 사물함의 소유자에게 락커 번호와 비밀번호를 보내십시오. 야근 등으로 업무시간에 분실물 센터를 방문하지 못하는 시민들에게 매우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지하철 유실물 및 잃어버린 물건 빠르게 찾는 법을 알려드렸습니다. 모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위의 글들을 참고하십시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하트(공감), 구독을 부탁드립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면증을 해결하는 음식 6가지 (0) | 2023.02.15 |
---|---|
숙취해소에 가장 좋은 및 음식 3가지 (0) | 2023.02.14 |
집중력과 에너지를 낼수 있는 및 좋은 음식 5가지 (0) | 2023.02.12 |
흰색채소가 혈관 암을 예방하는 5가지 채소 (0) | 2023.02.11 |
기분이 좋아지는 좋은음식 7가지 (0) | 2023.02.10 |